반응형
장애인 통합교육의 발전방안 보고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합교육
1) 통합교육 개념
2) 최근의 통합교육의 정의
3) 시대적 변화
4) 통합교육의 규명
2. 통합교육의 이론적 배경
1) 정상화 원리
2) 탈시설수용화
3) 최소제한환경
4) 일반교육주도
5) 완전 통합(full inclusion)
3. 통합교육의 필요성
1) 체험학습이 필요.
2)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게 된다.
4. 자폐성 영유아의 통합교육의 의미
1) 통합교육과 통합의 의미
2) 조기통합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3) 통합의 상호혜택
5. 성공적인 통합교육 프로그램 실제의 특성
Ⅰ.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본질적인 특성
1) 팀웍에 가치를 둔 협력적인 문화
2) 모든 수준에서 효과적이고 공유된 지도성
3) 미래에 대한 공유된 비전
4) 종합적인 계획
5) 적절한 자원
6) 지원의 유지
7) 지속적인 평가와 개선
6. 통합교육의 질적 지표
1) 통합교육 지표 과정의 5단계
2) 통합교육 지표의 3차원과 하위영역들
3) 통합교육 지표의 3차원 및 하위영역과 평가항목 목록
7. 부모님께 드리는 통합교육을 위한 지침
1) 일반학급 담임이 장애 아동에게 (전일제) 공부하기를 원할 때
2) 다른 일반 아이들에게 피해가 간다면
3)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을 놀리면
4) 장애아동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면
8. 성공적인 통합교육 (담임의 역할)
1) 첫 단추가 중요
2) 도움반 아동의 짝을 정할 때
3) 특수반아동에게 특별한 배려는?
4) 학급의 행사에 참여할 때
5) 학교행사에 참여할 때
6) 1인 1역을 주세요.
7) 청소 당번은 어떻게?
8) 주간학습을 챙겨 주세요.
9) 알림장을 쓰도록 하세요.
9. 통합교육의 혜택
1)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혜택
2) 일반아동에게 미치는 혜택
10. 효과적인 영유아기 교육 조건
1) 아동-아동간의 상호작용 중심 교육방법
2) 또래협력활동 중심 교과내용
3) 자폐성 유아에 대한 구성원의 이해
4) 개별화교육 프로그램 지원
5) 관련 전문가들의 협력체계
11. 효과적인 유아기통합 전략
1) 물리적 환경지원
2) 안정적 환경지원
3) 사회적 환경지원
12. 통합교육의 발전 방향
1)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개념 정립
2)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과제
Ⅲ. 결론
(6) 교사, 다른 전문가, 학생, 부모 및 지역사회 관련 인사들 사이의 협력 강조
- 교사와 관련전문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역할을…(생략)
반응형
'★ 많은 정보 얻어 가세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사회복지론 과제 다운받기 (0) | 2023.07.18 |
---|---|
2023년 어린이집 부모참여수업계획안 (0) | 2023.07.18 |
유기화합물의 명명법 (Nomenclature of Organic Compounds) 등록 (0) | 2023.07.18 |
치매에 대해서 (0) | 2023.07.18 |
렌츠의법칙 업로드 (0) | 2023.07.18 |